[뉴스엔뷰] 정부가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관리대책본부' 총괄을 보건복지부 차관에서 장관으로 격상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2일 최경환 국무총리 직무대행 주재 관계 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메르스 확산방지 강화대책을 논의했다.
이 대책에 따르면 복지부 중앙메르스 관리대책본부 본부장을 '차관'에서 '장관'으로 높인다.
이에 따라 정부는 현재 복지부 차관이 맡고 있는 관리대책본부장을 문형표 복지부 장관이 직접 맡도록 하되 국가전염 관리체계는 종전의 '주의' 단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또 메르스 확진환자와 접촉한 대상자 전체를 파악해 우선순위에 따라 평가·분류한 후 밀접접촉자 중 50세 이상 만성질환자는 원칙적으로 시설격리를 유도할 방침이다.
나머지 밀접접촉자는 자가 격리를 하되, 매일 2차례에 걸쳐 모니터링하고, 연락 두절이 될 경우 보건소 직원이 직접 방문조사 하기로 했다.
대상자는 의료기관 내 응급실·입원·외래를 이용하는 원인 불분명한 폐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폐렴, 50세 이상 기저질환이 있는 폐렴환자 등 고위험 폐렴환자에 대해서도 병원기반 중증 폐렴 감시체계를 이용해 조속한 시일 내에 전수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메르스 확진검사를 신속히 수행하기 위해 메르스 자가진단이 가능한 대학병원이 희망하면 진단시약을 제공하기로 했다. 중소의료기관의 경우 대형임상검사센터를 활용해 확진검사 조기진단 체계를 구축한다.
감염관리가 미흡한 중소병원에는 감염관리책임자를 지정하고, 감염학회 등의 교육 지원을 통해 병원 내 감염관리역량을 강화하기로 했다.
앞서 보건당국은 메르스에 대한 관리체계를 '관심' 단계에서 감염병 징후 활동을 감시해오다, 지난달 20일 추가 유입과 국내 추가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주의'로 높였었다.
보건복지부는 “메르스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국민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다시 한번 강조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무분별한 괴담이나 루머가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손씻기, 기침예절지키기, 공공장소에서 마스크 착용 등 기본적인 감염예방수칙을 잘 지켜,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감염위험에 대비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