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서울중앙지법 민사50부(수석부장판사 김용대)는 미국계 해지펀드 엘리엇이 삼성물산을 상대로 제기한 주주총회 소집통지 및 결의금지 등 가처분 신청을 1일 기각했다.
![]() | ||
▲ 사진=뉴시스 |
재판부는 "주권상장법인 사이의 합병에서 자본시장법 및 시행령에 따라 합병가액을 산정하고 합병비율을 정했다면 가액 산정 기준이 된 주가가 시세조종행위 등으로 부당하게 형성된 것이 아닌 이상 합병비율이 현저히 곤란하다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엘리엇 측이 공정가치 근거로 제시한 자료에 대해 “회계법인이 기업실사 등 심층조사를 거치지 않고 일정한 가정 및 계산방식에 따라 산정한 두 회사의 적정주가를 제시한 것에 불과하다”며 "엘리엇이 주장하는 공정가치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적정주가라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
또한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공시 직후 삼성물산 주가가 상승하는 등 시장에서 합병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며 "두 회사의 합병이 삼성물산에겐 손해만 주고 제일모직에겐 이익을 줬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삼성물산 경영진이 제일모직과 제일모직 대주주의 이익만을 위해 합병을 추진한다고 볼 만한 자료가 없다"고 지적했다.
앞서 엘리엇은 지난달 9일 주주총회 결의금지 가처분 소송을 제기, 기업가치를 고려했을 때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이 1 대 0.35로 정해진 합병비율은 부적절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