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신용보증기금은 보증심사 기준을 기업의 미래성장가능성 중심으로 재편한다고 10일 밝혔다.
신보는 40여년간 기업의 신용등급에 맞춘 보수적 기업평가를 유지해왔으나, 앞으로는 회사의 미래성장성에 맞춰 결정하는 방식으로 보증심사 패러다임을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 | ||
신보는 기업의 미래가치와 성장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 2010년부터 기업가치평가나 지식자산평가 등 다양한 평가모형을 개발해 활용해왔다.
또 그간 평가모형의 리모델링을 통해 평가의 안정성을 높였고 전담조직인 창조금융센터를 설치해 기업의 미래성장성 평가체계도 구축했다.
신보는 우선 신용등급이 보통이지만 미래성장성이 우수한 제조회사의 경우 기존 매출액의 4분의 1로 적용되던 보증한도를 매출액의 3분의 1까지 늘릴 계획이다.
전결권도 영업본부장에서 한 단계 내려간 영업점장이 처리할 수 있고, 보증 표준처리기간도 대폭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증료도 0.2% 포인트 추가 차감될 수 있다.
또 보증심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산업 및 기술관련 동향정보 등 전문적인 기업 평가를 위해 필요한 참고정보를 상시적으로 제공하는 등 심층분석 툴을 보완했다.
국내외 관계기업이 있는 경우 내부거래 심사를 강화해 허위매출을 부풀리는 행위에 대한 감시기능도 강화하기로 했다.
신용보증기금 서근우 이사장은 “이번 보증심사 시스템 재편은 신보가 기업을 바라보는 관점을 기업의 과거 실적에서 기업의 성장잠재력으로 180도 전환한 것”이라며 "침체된 우리 경제가 활력을 찾는데 중소기업이 중추적인 역할을 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