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향후 10년간 대졸·전문대졸 인력 공급이 79만여명 초과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15일 오전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2014~2024 대학 전공별 인력수급전망'을 발표했다.
![]() | ||
이에 따르면 2024년까지 향후 10년간 대졸 32만1000명, 전문대졸 47만1000명 등 79만2000명의 인력이 노동시장의 수요를 초과해 공급될 것으로 예측됐다.
저출산 등의 영향으로 학령인구가 감소하면서, 대학졸업생과 전문대 졸업생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구인 인력수요는 완만한 경제성장 등으로 꾸준히 발생할 것으로 추측됐다.
그러나 향후 10년 동안은 대졸자 인력규모는 474만7000명인데 반해 구인 인력수요는 395만4000명에 그쳐 초과공급 상태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전공계열별로는 2024년까지 공학계열 대학 졸업자에 대한 인력 수요는 96만9000명인데 비해, 공급되는 졸업자는 75만4000명으로 21만5000명이 부족하고, 전문대를 포함할 경우 부족한 공학계열 전공자는 25만8000명선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문사회계열 졸업자 규모는 전문대를 포함해 총 174만2000명이지만, 인력 수요는 121만5000명에 그치는 것으로 추산됐으며, 특히 사범계열은 저출산에 따라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14만2000명이 초과공급될 것으로 전망됐다.
고용부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동시장 초과공급에 따른 미스매치 최소화 ▲차별화된 미래인재 양성정책 ▲진로지도, 전공 선택 시 참고 ▲외국인력 도입과 국내 노동시장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시스템 정비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