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롯데쇼핑 등 대기업들이 자발적 지배구조 개편에 열을 올리고 있다. 속내는 문재인정부 출범이후 지주사 요건이 강화되기 전에 지주사전환을 끝내자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그도 그럴 것이 문재인 정부의 재벌 정책은 대기업집단의 불법적인 경영승계 등 대주주 일가의 전횡에 제동을 거는 것을 방점으로 하고 있다. 이를 간파한 대기업들이 알아서 속도를 내고 있는 셈이다.
한 예로 롯데쇼핑은 지난 8일 이사회에서 오는 9월1일부로 시네마 사업부문을 분할해 롯데시네마를 별도 법인으로 분리하는 안건을 승인했다. 롯데쇼핑이 100% 출자하는 자회사를 설립한 다음, 시네마사업부 순자산을 현물 출자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도 같은 날 BGF와 BGF리테일을 인적불할하기로 했다고 알렸다. 이랜드그룹도 오는 하반기부터 기업 구조변경에 돌입한다. 이랜드월드를 지주회사로 하고 자회사별로 책임경영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반면 현대차그룹은 발등에 불이 떨어진 모양새다. 총수일가의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순환출자 해소와 관련 뚜렷한 해법을 찾지 못하면서 고민이 깊어지고 있어서다. 특히 ‘재벌 저격수’라고 불리는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23일 4대그룹(삼성, 현대, SK, LG)과 만나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높이고 사회적 상생에 자발적으로 힘을 써달라고 주문하면서 긴장한 모습이 역력하다.
이에 따라 지배구조 개편에 앞서 순환출자 고리를 아직 해소하지 못한 현대차의 셈법은 더욱 복잡해질 전망이다. 순환출자 고리를 끊는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는 사재출연이 가장 유력하게 거론된다. 업계는 기아차의 현대모비스 지분(16.9%)을 정의선 부회장 등 총수일가가 사들이는데만 4조원, 현대모비스의 현대차 지분(20.8%) 매입에 7조2000억원이라는 자금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했다.
결국 이 같은 움직임은 '김상조-장하성' 체제에서 파생된 후폭풍을 최소화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업계는 풀이하고 있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은 '재벌 저격수',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은대기업의 불합리적 지배구조 문제 등을 지적해온 인사로 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