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3일 종전과 같은 수준인 연 1.25%의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이에 따라 기준금리는 지난해 6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1.25%로 인하한 뒤 13개월째 최저금리를 유지했다.

이날 금통위는 부총재직이 공석인 가운데 6인 위원 체제로 열렸다.
전문가들은 미국 등 주요국 통화정책 기조 변화가 금리인상 기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14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와 여전히 부진을 면치 못하는 내수에 대한 부담이 큰 것으로 분석했다.
한은은 이날 "국내경제는 소비 증가세가 여전히 미흡했지만 수출과 투자가 개선되면서 견실한 성장세를 이어간 것으로 판단된다"며 "고용 면에서는 전년동기대비 취업자수 증가세가 둔화됐으나 고용률과 실업률은 상승했다"고 밝혔다.
한은은 국제금융시장은 대체로 안정된 것으로 봤으며, 세계경제의 회복세는 미국 정부 정책방향 및 연준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 보호무역주의 확산 움직임, 국제유가 향방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풀이했다.
또 국내 물가에 대해서는 소비자물가의 상승 등으로 2% 수준의 오름세를 지속할 것으로 판단했다.
이밖에도 가계대출은 전년대비 증가규모가 다소 축소됐지만 예년보다 높은 증가세를 지속했다고 전했다.
금통위는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고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계획이다.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변화, 주요국과의 교역여건,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 가계부채 증가세, 지정학적 리스크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아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