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제72주년 광복절을 맞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기념식에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경축사를 통해 "한반도에서의 군사행동은 대한민국만이 결정할 수 있고 누구도 대한민국의 동의 없이 군사행동을 결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반도 안보 문제는 동맹국의 의존에서 벗어나 당사자인 우리 주도로 해결하겠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그는 "한반도에서 또다시 전쟁은 안 된다"면서 "정부는 모든 것을 걸고 전쟁만은 막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 당면한 가장 큰 도전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로, 정부는 현재의 안보 상황을 매우 엄중하고 인식하고 있다"며 "정부는 굳건한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미국과 긴밀히 협력하면서 안보위기를 타개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통일은 인위적·흡수통일과 북한 정권의 붕괴 의도가 없음을 명확히 하며, 민족공동체의 모든 구성원들이 합의하는 '평화적·민주적'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 대통령은 독립운동가들을 최고의 존경과 예의로 보답하고, 국가에 헌신하면 3대까지 대접받는다는 인식을 심을 것을 약속했다.
이어 잊혀진 독립운동가를 발굴하고, 해외의 독립운동 유적지를 보전할 것을 다짐했다.
아울러 한일관계의 미래지향적 관점을 강조하면서도 과거사 해결을 전제 조건으로 내세웠다. 위안부 피해자의 보상과 명예회복, 진실규명 등 국제사회의 원칙을 준수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일본 정부의 역사인식의 전환을 촉구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광복절 기념식에 앞서 백범 김구 선생과 임시정부 요인들의 묘역을 참배했다.
이는 대한민국 정부의 뿌리를 임시정부에서 찾고 있다는 뜻을 분명히 하면서 건국절 논란을 종식시키겠다는 의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방명록에 '선열들이 이룬 광복, 정의로운 대한민국으로 보답하겠습니다'라고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