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우리은행이 거액의 금액을 예치한 VIP고객의 자녀, 국정원이나 금융감독원 등 사정기관의 자녀를 특혜채용 했다는 의혹에 휩싸였다.

17일 정의당 심상정 의원에 제보된 바에 따르면 '2016년 우리은행 신입사원 공채 추천현황 및 결과'에서 지원자들의 이름 옆에 관련정보, 추천인등의 항목이 있다. 비고란엔 공공예금 1930억, 신규여신 500억추진등이 적혀있다. 명단에 적힌 지원자 16명 모두 최종 합격했다.
심 의원은 "당시 공채에 1만7천 명이 지원해 11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는데, 매일 바늘구멍을 통과하기 위해 사는 청년들 입장에서는 돈하고 연줄, 권력이 짬짜미 된 현실에 하늘이 무너지는 심정일 것"이라고 말했다.
국감에 출석한 최 금감원장도 이와 관련 "면목이 없다"라며 "검찰에 수사의뢰 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우리은행 관계자는 본지와의 대화에서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라는 입장으로 일관했다. 또 해당 자료는 "어떻게, 누가, 언제 만들었는지 모르겠다"라고 변명했다. 그러나 심 의원에 따르면 해당 자료는인사팀이 작성했다고 우리은행 임원들에 의해 확인됐다.
우리은행은 지난 2008년부터 블라인드 채용을 한다고 말해왔다. 그러나 이번 채용 비리 의혹이 불거져 논란이 커짐에도 불구하고 해당은행 관계자는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최 금감원장이 향후 검찰 조사 의뢰까지 하겠다고 한 마당에 우리은행은 해당 자료를 아직도 "인사팀에서 검토하고 있다"라고만 말하고 있다.
한편 이 날 열린 국감에서 심 의원은 "현 정부가 블라인드 채용 방식을 채택하도록 한 것은 잘한 일이지만 우리 사회에 뿌리깊은 채용·인사비리를 근본적으로 척결해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정부여당에서 이러한 사안을 뿌리 뽑을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주길 바란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