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이유정 기자] 오는 2021년까지 지금의 광화문광장이 3.7배 이상 넓어진다. 아울러 세 곳으로 단절돼 있던 지하공간이 하나로 통합된다.

서울시는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국제설계공모전 결과를 발표하고, 최종 당선작인 '딥 서피스'(CA조경기술사사무소 등)를 공개했다.
세종문화회관 앞쪽 차로가 광장으로 편입돼 전체 규모가 6만9300㎡로, 기존보다 3.7배 넓어진다. 정부종합청사·세종문화회관 쪽 도로가 없어지고, 기존 질서 없는 구조물을 정리한다.
경복궁 앞에는 3만6000㎡ 규모 '역사광장'이 만들어지고, 지금의 외교부 앞쪽에는 2만4000㎡ 규모 시민광장이 조성된다.
이를 위해 그동안 광화문광장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세종대왕상과 이순신장군상을 세종문화회관 옆과 옛 삼군부 터(정부종합청사 앞)로 각각 이전하는 방안이 제안됐다.
광화문 광장에서 경복궁과 북악산이 한눈에 들어오는 조망을 갖출 예정이다.
해치광장 등 세 곳으로 단절돼 있던 지하공간은 하나로 통합해 문화 이벤트가 연중 열리는 휴식·문화·교육·체험 공간으로 채워진다. 지상과 지하공간은 '선큰'으로 연결해 시민들이 위아래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지하에는 동대문에서 광화문까지 막힘없이 이어진 보행로가 생기고, GTX A 노선의 광화문복합역사를 신설해 총 5개 노선이 맞물리는 초대형 환승역이 탄생한다.
지하철 5호선 광화문, 1·2호선 시청, GTX-A 노선과 선로를 공유하는 총 5개 노선을 연결하는 초대형 복합역사를 만들 계획이다.
또 일제강점기 때 훼손됐던 월대(月臺·궁전 건물 앞에 놓는 넓은 단)와 현재 흔적을 찾을 수 없는 '의정부'터 복원도 추진된다.
이와 함께 연말까지 '세종로 지구단위계획'을 정비해 북촌·서촌·사직동·정동·청계천 등을 연결해 광화문을 중심으로 도심 보행 공간을 재편한다.
이번 광화문 재구조화 사업에는 서울시 예산 669억원, 문화재청 예산 371억원 등 총 1천40억원이 투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