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엔뷰] 여러 악재로 인한 유동성 위기 해소를 위해 쌍용자동차가 부동산 자산을 대거 매각할 것으로 보인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쌍용차는 유동성 위기 해소를 위해 10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되는 서울 구로 정비사업소 부지를 비롯해 대전 서비스센터부지, 인재개발원, 천안·영동 물류센터 등을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평택공장과 창원공장 등 생산관련 시설을 제외한 모든 자산에 대해 매각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쌍용차 구로 정비사업소 부지는 토지면적 1만8089㎡로, 지하철 1호선 구로역과 길 하나를 두고 인접해있다.
공시지가는 694억원이지만 개발 가능성이 높아 시세는 1100억원 이상으로 형성될 것으로 추정된다.
구로역 인근 대지 평균 매매가는 3.3㎡당 2000만원 수준으로, 향후 개발 상황에 따라 가격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쌍용차는 구로정비사업소가 서비스센터로 활용되는 점 등을 감안해 매각한 후 3년간 임대하는 '세일즈 앤드 리스백'(Sales & Lease Back) 방식으로 매각할 방침이다.
쌍용차 측은 빠른 시일 내에 단기 유동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매각을 검토할 방침이라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쌍용차는 이와 함께 유동성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 산은 등에 지원을 요청할 방침이다.
쌍용차는 40조워 규모의 기간산업안정기금 중 2000억원 가량을 확보하고, 산업은행에 오는 7월 만기되는 900억원의 대출에 대한 상환 유예를 신청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기간산업안정기금의 경우 당초 검토됐던 7개 업종 중 항공과 해운 2개 업종에 대한 지원만 확정된 상황이라 지원 여부가 불투명하다.
다른 업종의 경우 금융위가 소관 부처 의견을 들어 기재부와 협의해 지정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