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말 뿐인 리베이트 근절 선언이 구설에 올랐다. 근원지는 GS건설이다.

기억을 되짚어 보면 임병용 GS건설 사장은 지난해 9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도시정비 영업의 질서회복을 위한 선언’을 했다.
이는 강남 재건축 수주권을 놓고 경쟁사와의 과열 경쟁을 우려한데 따른 것으로 이른 바 ‘클린 수주’를 통해 “불법적인 리베이트 활동을 하지 않겠다”는 임 사장의 강력한 의지다. 당시 임 사장은 불법 근절을 넘어 건설업계의 구태를 끊겠다는 뉘앙스였다.
이에 GS건설은 같은 해 10월 한신4지구 수주경쟁사인 L사를 겨냥해 불법영업행위를 폭로했고, 이 과정에서 사측은 수사 의뢰를 검토하고 있다며 엄포를 놓기도 했다. 이 같은 노력은 임 사장의 ‘클린 수주’을 위한 노력으로 해석되며 업계에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그런데 6개월이 훌쩍 흐른 현재, GS건설은 경쟁사 불법행위를 폭로한 것 외엔 한 게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말 뿐인 클린 수주 선언...경쟁사 폭로에만 열 올려
GS건설 측은 “이미 조합원이 먼저 경찰(서초경찰서)에 고발했다”고 말했다. 수사의뢰를 차일피일 미룬 이유에 대해서는 “경찰 조사를 받았고 충분히 협조했다”는 말 뿐이었다. 사실상 허울뿐인 ‘클린 수주 선언’을 인정한 셈이다.
이 뿐만이 아니다. GS건설은 지난해 11월 경기도 수원의 최대 재건축 사업으로 꼽히는 ‘영통2구역(매탄주공 4·5단지)’ 시공권 수주경쟁에서 ‘조합원 가구당 이사비 1000만원 무상 지원’을 제안해 논란을 빚었다. 이는 ‘클린 경쟁’을 선언한 지 두 달 만에 이뤄진 것으로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는 대목이다.
GS건설 관계자는 “조합의 입찰 제안서 요구에 따라 이사비 지급을 명기한 것일 뿐”이라면서 “최종 확정된 것도 아니고, 국토부의 이사비 지급 기준이 정해지면 그에 따를 것”이라고 설명했다.